목록공부/악성코드 (3)
OutDoorFrog의 리버싱 이야기
멘탈에 금가는 중인 개구리(OutDoorFrog)입니다. 프로젝트를 힘차게 진행해야할 시기가 다가옵니다. 개발 부분에서는 크로스 플랫폼 핵심 모듈 설계의 기술이란 도서를 보며 깨지는 중이고 보안 부분에서는 디컴파일을 하고도 기능을 못 유추할 것 같은 쉘코드를 보며 깨지는 중입니다. 오늘은 연구에 조금 진전이 있어서 이야기를 해드릴려고합니다. 썰을 풀어보겠습니다!! 0. DLLMain을 찾았습니다만..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Main 함수로부터 시작합니다. 악성코드 분석도 Main 함수를 찾는 것을 첫 번째 목표로 합니다. 나뭇잎 책의 말을 빌리자면 베이스 캠프를 설치한다고 보면 되겠네요. 윈도우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1년 반이라는 시간을 투자했던만큼WinAPI 관련 소스 코드를 해석할 때 좀 더 정확하고 빠르..
안녕하세요! 블로그의 주인장 OutDoor Frog입니다! 오늘은 기증 받은 악성코드를 분석해봅시다! 1. Detect It Easy & Hasy My Files MFC를 사용했고, x86 DLL 파일이군요. Windows 7 32bit 사무용 컴퓨터에 딱 맞는 악성코드인 것 같습니다! MFC 같은 프레임워크는 입문 난이도가 높아서 진도를 덜 나갔었는데 복습까지 되겠군요!!! (개꿀~) MD5 : 97363d50a279492fda14cbab53429e75SHA1 : f1a181d29b38dfe60d8ea487e8ed0ef30f064763 해시값을 구하는 이유는 악성코드의 해시값을 분석사이트에서 검색해볼 수도 있고 파일의 변조 여부를 판단할 때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2. PE viewer IAT를 보고 악..
2018-09-05 악성 코드를 기부 받았는데 드디어 분석하게 되네요! 아마 악성 코드 분석 커리큘럼은 이렇게 될 것 같습니다! 악성 코드 보고서 탐독 정적 분석행위 분석동적 분석악성코드 구현(좋은 루틴은.. 헤더 파일로 박제합시다!!)여러분이 처음 보는 악성코드 보고서 분석이라는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 분석하는 악성 코드까지 합하면 3 번째 분석입니다.(이번 악성코드 난이도는 최상 추정) 바이러스토탈에서 악성코드의 해쉬값을 검색해봅시다. Windows 버전 샘플 해쉬 값 MD5 : 97363d50a279492fda14cbab53429e75SHA-256 : 462a02a8094e833fd456baf0a6d4e18bb7dab1a9f74d5f163a8334921a4ffde8 Linux 버전 샘..